본문 바로가기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제4 인도품(人道品) 5장

대종경(大宗經)

4 인도품(人道品) 5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무릇, 천하 만사가 다 본말(本末)과 주종(主從)이 있나니, 근본을 알아서 근본에 힘쓰면 끝도 자연히 좋아질 것이나, 끝을 따라 끝에만 힘쓰면 근본은 자연 매하여질 것이요, 또한 주()를 알아서 주에 힘쓰면 종()도 자연히 좋아질 것이나, 종을 따라 종에만 힘쓰면 주가 자연 매하여질 것이니, 예를 들면 사람에 있어서 마음은 근본이 되고 육신은 끝이 되며, 세상에 있어서 도학은 주가 되고 과학은 종이 되는 바 이 본말과 주종을 분명히 알아야만 비로소 도를 아는 사람이라, 이러한 사람이라야 능히 천하사도 바로잡을 수 있나니라.]

주종본말[主從本末]

사리간(事理間)에 주장되는 것과 종속적인 것, 근본적인 것과 지엽적인 것. 소태산대종사는 천하만사가 다 본말과 주종이 있나니 근본을 알아서 근본에 힘쓰면 끝도 자연히 좋아질 것이나, 끝을 따라 끝에만 힘쓰면 근본은 자연 매하여질 것이요, 또한 주를 알아서 주에 힘쓰면 종도 자연히 좋아질 것이나, 종을 따라 종에만 힘쓰면 주가 자연 매하여질 것이니, 예를 들면 사람에 있어서 마음은 근본이 되고 육신은 끝이 되며, 세상에 있어서 도학은 주가 되고 과학은 종이 되는바 이 본말과 주종을 분명히 알아야만 도를 아는 사람이라, 이러한 사람이라야 천하사도 바로잡을 수 있다고 했다(대종경인도품5).(원불교대사전)

시종본말[始終本末]

시종과 본말의 합성어. 시종은 처음과 끝. 본말은 근본과 지엽. 모든 일을 하는 데 있어서 시작과 마무리가 일관되어야 하고 근본과 지엽을 구분하여 가닥과 순서를 잡아 처리해야 한다는 의미가 들어 있다.(원불교대사전)

[본말과 주종 가리기]

<장원경 교무/영산선학대학교>

성공하는 사람일수록 시간 관리 능력이 탁월하다고 한다. 시간 관리를 잘하는 방법은 긴급하면서도 중요한 일부터 처리하는 것이다. 인생 공부에 있어서도 성공하려면 긴급하고 중요한 것부터 해야 한다. 대체로 지엽적인 것 보다는 근본적인 것부터 하는 것이 중요하고, 종속적인 것보다는 주된 것부터 하는 것이 성공의 열쇠가 된다. 유아들이 블록을 쌓으며 놀 때도 기초부터 튼튼하게 하지 않던가!

인도품 5장에서 근본을 알아 힘쓰면 끝도 좋아지나, 끝에만 힘쓰면 근본은 매해진다고 하셨고 주()를 알아서 주에 힘쓰면 종()도 자연히 좋아질 것이나, 종에만 힘쓰면 주가 자연 매하여질 것이라 하시고 예로써 사람에 있어서 마음이 근본이 되고 육신은 끝이 되며, 세상에 있어서 도학은 주가 되고 과학은 종이 되는 바 이 본말과 주종을 분명히 알아야만 비로소 도를 아는 사람이라 말씀해 주셨다.

본말과 주종이 뒤바뀌어 있는 세상의 모습을 대종사님께서는 파란고해(波瀾苦海)라고 표현하셨다. 파란고해라는 말은 인생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온갖 역경 난경과 고통을 의미한다. 요즈음 컴퓨터에 능한 사람이 한마음 잘못 사용하여 벌이는 해킹사고, 가정이나 학교에서 우발적으로 일어나는 극단적인 폭력 사고 등은 주종과 본말을 못 가려서 일어나는 파란고해이다.

본말과 주종을 가리지 못하는 큰 이유로는 한편의 충동에 끌려서 공정한 비판력을 가지지 못하거나 또는 눈앞의 이익에 얽매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무엇보다도 힘써야 할 것은 어떤 것이 근본적이고 중요한지를 잘 판단하고 그대로 실행하는 것이다.

어느 것이 근본이고 주이며 어느 것이 끝이고 종인지의 판단 근거는 평소에 법당과 교무님과 전서를 가까이 하는데서 세워진다. 인과보응과 불생불멸의 큰 도를 확신하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큰 도로만 나가는 것이 본말과 주종을 가리는데 큰 힘이 된다. 경계마다 멈추고 그일 그일에 일심하는 것으로 마음을 방심하지 않을 때 바른 판단이 흔들리지 않는다.

흔히들 '배부른 돼지보다는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라'는 말이 있다. 이것은 반지성적인 인간이 되어서 물질세계에만 집착하는 것보다 지덕을 갖추어서 생활하는 것이 순서라고 지적한 말이 될 것이다. 즉 육신생활, 경제생활보다는 정신생활이 주()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숭산종사님은 "외형적인 조건(권리, , 명예)만을 집착하지 말고 안으로 정신을 잘 육성하여야 한다. 그러면 외부적인 조건을 참되게 선용할 수 있는 지혜의 힘이 나온다"고 했다.

★-THE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