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제4 인도품(人道品) 7장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7장 대종사 "그 의(義)만 바루고 그 이(利)를 도모하지 아니하며, 그 도만 밝히고 그 공을 계교하지 아니 한다.(正其義而不謀其利 明其道而不計其功)"한 동중서(董仲舒)의 글을 보시고 칭찬하신 후 그 끝에 한 귀씩 더 붙이시기를 "그 의만 바루고 그 이를 도모하지 아니하면 큰 이가 돌아오고 그 도만 밝히고 그 공을 계교하지 아니하면 큰 공이 돌아오나니라(正其義而不謀其利大利生焉 明其道而不計其功大功生焉)"하시니라. ★★★★★★★★★★ 동중서[董仲舒]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재상. 전한시대 유교를 중국의 국교로 만들고, 유학을 관학화하여 정치철학의 토대로 삼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 유학자이다. 젊었을 때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을 익혔고 경제(景帝) 때에 박.. 더보기
제4 인도품(人道品) 6장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6장 대종사 이 동진화(李東震華)에게 말씀하시기를 [사람이 세상에 나서 할 일 가운데 큰 일이 둘이 있으니 그 하나는 정법의 스승을 만나서 성불하는 일이요, 그 둘은 대도를 성취한 후에 중생을 건지는 일이라, 이 두 가지 일이 모든 일 가운데 가장 근본이 되고 큰 일이 되나니라.] ★★★★★★★★★★ 이동진화[李東震華] 본명은 경수(慶洙). 법호는 육타원(六陀圓). 법훈은 종사. 1893년 5월에 경남 함양군 마천면 삼정리에서 부친 화실(和實)과 모친 김(金)씨의 2남 3녀 중 3녀로 출생했다. 천성이 인자 고결 침착 과묵했고, 일찍 부친을 사별했다. 18세에 이왕가(李王家) 종친 댁으로 출가(出嫁)하여 상당한 부귀를 누렸으나, 세속생활의 재미보다는 종교적 수양생활을.. 더보기
제4 인도품(人道品) 5장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5장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무릇, 천하 만사가 다 본말(本末)과 주종(主從)이 있나니, 근본을 알아서 근본에 힘쓰면 끝도 자연히 좋아질 것이나, 끝을 따라 끝에만 힘쓰면 근본은 자연 매하여질 것이요, 또한 주(主)를 알아서 주에 힘쓰면 종(從)도 자연히 좋아질 것이나, 종을 따라 종에만 힘쓰면 주가 자연 매하여질 것이니, 예를 들면 사람에 있어서 마음은 근본이 되고 육신은 끝이 되며, 세상에 있어서 도학은 주가 되고 과학은 종이 되는 바 이 본말과 주종을 분명히 알아야만 비로소 도를 아는 사람이라, 이러한 사람이라야 능히 천하사도 바로잡을 수 있나니라.] ★★★★★★★★★★ 주종본말[主從本末] 사리간(事理間)에 주장되는 것과 종속적인 것, 근본적인 것과 지엽적인 것... 더보기
제4 인도품(人道品) 4장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4장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사람이 인도를 행하기로 하면 한 때도 가히 방심할 수 없나니 부모·자녀 사이나, 스승·제자 사이나, 상·하 사이나, 부부 사이나, 붕우 사이나, 일체 동포 사이나, 어느 처지에 있든지 그 챙기는 마음을 놓고 어찌 가히 인도를 다 할 수 있으리요. 그러므로, 예로부터 모든 성인이 때를 따라 출세하사 정당한 법도를 제정하여 각각 그 사람답게 사는 길을 밝히셨나니, 만일 그 법도를 가벼이 알고 자행 자지를 좋아한다면 그러한 사람은 현세에서도 사람의 가치를 나타내지 못할 것이요, 내세에는 또한 악도에 떨어져서 죄고를 면하지 못하리라.] ★★★★★★★★★★ 출세기연[出世機緣] 세상에 나오게 된 기회와 인연. 어떤 기회를 통하여 세상에 나오게 된 인연.. 더보기
제4 인도품(人道品) 3장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3장 대종사 이어서 말씀하시기를 [그러나, 만일 도덕의 원리를 알지 못하고 사사하고 기괴한 것을 찾으며 역리(逆理)와 패륜(悖倫)의 일을 행하면서 입으로만 도덕을 일컫는다면 이것은 사도와 악도를 행하는 것이니, 그 참 도에 무슨 상관이 있으며, 또는 무슨 덕이 화할 수 있으리요. 그러므로, 도덕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은 반드시 먼저 도의 원리를 알아야 할 것이며, 도의 원리를 안 이상에는 또한 정성스럽게 항상 덕을 닦아야 할 것이니, 그러한다면 누구를 막론하고 점점 도를 통하고 덕을 얻으리라. 그러나, 범상한 사람들은 도덕의 대의를 알지 못하므로 사람 가운데에 대소 유무의 근본 이치는 알거나 모르거나 어떠한 이상한 술법만 있으면 그를 도인이라 말하고 또는 시비 이해의 .. 더보기
제4 인도품(人道品) 2장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2장 대종사 이어서 말씀하시기를 [덕(德)이라 하는 것은 쉽게 말하자면 어느 곳 어느 일을 막론하고 오직 은혜(恩惠)가 나타나는 것을 이름이니, 하늘이 도를 행하면 하늘의 은혜가 나타나고, 땅이 도를 행하면 땅의 은혜가 나타나고, 사람이 도를 행하면 사람의 은혜가 나타나서, 천만 가지 도를 따라 천만 가지 덕이 화하나니라. 그러므로, 이 여러가지 덕 가운데에 우선 사람의 덕만 해석하여 본다 하여도 그 조건이 또한 한이 없나니, 부모·자녀 사이에 도를 행하면 부모·자녀 사이의 덕이 나타나고, 상·하 사이에 도를 행하면 상·하 사이의 덕이 나타나고, 부부 사이에 도를 행하면 부부 사이의 덕이 나타나고, 붕우 사이에 도를 행하면 붕우 사이의 덕이 나타나고, 동포 사이에 도.. 더보기
제4 인도품(人道品) 1장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1장 새로 입교한 교도 한 사람이 여쭙기를 [저는 마침 계룡산(鷄龍山) 안에 살고 있사와, 산 안에 있는 여러 교회의 인물들과 많이 담화하게 되옵는바, 그들이 항상 각자의 교리를 자랑하며 말마다 도덕을 일컬으오나, 아직도 그 뜻에 밝은 해답을 듣지 못하였사오니 대종사께서 그 도덕의 뜻을 가르쳐 주옵소서.]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그대가 이제 도덕을 알고자 하니 그 마음이 기특하나 도덕이라 하면 그 범위가 심히 넓어서 짧은 시간에 가히 다 설명할 수 없나니라. 그러므로, 그대가 이 공부를 시작하여 상당한 훈련을 받은 후에야 점차로 알게 될 것이나, 이제 그 궁금한 마음을 풀기 위하여 우선 도덕의 제목만을 대강 해석해 줄 터이니 자세히 들으라. 무릇, 도(道)라 하는 것은.. 더보기
제4 인도품(人道品)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대종경》의 네 번째 품으로 총 5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체적인 내용은 도덕의 의미와 인도의 대의와 본말, 대인접물의 처세법과 지도인의 자세 등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도와 덕의 개념을 중심으로 그 내용이 전개되고 있다. 소태산대종사는 도라 하면 길을 이른다 하여, 이는 떳떳이 행하는 것을 말한다. 하늘이 행하는 도를 천도, 땅이 행하는 도를 지도, 사람이 행하는 도를 인도라 하며, 천인합일 속에서도 인도의 중요성을 언급, 부모ㆍ자녀ㆍ친구ㆍ동포들이 행해야 할 당연한 길이 있다고 했다. 또 덕이라 하는 것은 도를 실천함으로써 은혜가 나타나는 것이라 했다. 특히 인도품은 도덕의식과 도덕적 실천을 포괄하고 있다. 도덕의 원리를 알지 못하고 역리와 패륜의 일을 행하면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