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1장
새로 입교한 교도 한 사람이 여쭙기를 [저는 마침 계룡산(鷄龍山) 안에 살고 있사와, 산 안에 있는 여러 교회의 인물들과 많이 담화하게 되옵는바, 그들이 항상 각자의 교리를 자랑하며 말마다 도덕을 일컬으오나, 아직도 그 뜻에 밝은 해답을 듣지 못하였사오니 대종사께서 그 도덕의 뜻을 가르쳐 주옵소서.]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그대가 이제 도덕을 알고자 하니 그 마음이 기특하나 도덕이라 하면 그 범위가 심히 넓어서 짧은 시간에 가히 다 설명할 수 없나니라. 그러므로, 그대가 이 공부를 시작하여 상당한 훈련을 받은 후에야 점차로 알게 될 것이나, 이제 그 궁금한 마음을 풀기 위하여 우선 도덕의 제목만을 대강 해석해 줄 터이니 자세히 들으라. 무릇, 도(道)라 하는 것은 쉽게 말하자면 곧 길을 이름이요, 길이라 함은 무엇이든지 떳떳이 행하는 것을 이름이니, 그러므로 하늘이 행하는 것을 천도(天道)라 하고, 땅이 행하는 것을 지도(地道)라 하고, 사람이 행하는 것을 인도(人道)라 하는 것이며, 인도 가운데에도 또한 육신이 행하는 길과 정신이 행하는 길 두 가지가 있으니, 이 도의 이치가 근본은 비록 하나이나 그 조목은 심히 많아서 가히 수로써 헤아리지 못하나니라. 그러므로, 이 여러 가지 도 가운데에 우선 인도 하나만 들어 말하여도, 저 육신이 행하는 도로의 선(線)이 어느 지방을 막론하고 큰 길 작은 길이 서로 연락하여 산과 물과 들과 마을에 천만 갈래로 뻗어나간 수가 한이 없는 것같이, 정신이 행하는 법의 길도 어느 세상을 막론하고 큰 도와 작은 도가 서로 병진하여 개인·가정·사회·국가에 경계를 따라 나타나서 그 수가 실로 한이 없나니라. 그러나, 이제 몇 가지 예를 들면 부모·자녀 사이에는 부모·자녀의 행할 바 길이 있고, 상·하 사이에는 상·하의 행할 바 길이 있고, 부부 사이에는 부부의 행할 바 길이 있고, 붕우 사이에는 붕우의 행할 바 길이 있고, 동포 사이에는 동포의 행할 바 길이 있으며, 그와 같이 사사물물을 접응할 때마다 각각 당연한 길이 있나니, 어느 곳을 막론하고 오직 이 당연한 길을 아는 사람은 곧 도를 아는 사람이요, 당연한 길을 모르는 사람은 곧 도를 모르는 사람이며, 그 중에 제일 큰 도로 말하면 곧 우리의 본래 성품인 생멸 없는 도와 인과 보응되는 도이니, 이는 만법을 통일하며 하늘과 땅과 사람이 모두 여기에 근본하였으므로 이 도를 아는 사람은 가장 큰 도를 알았다 하나니라.]
★★★★★★★★★★
생멸 없는 도[生滅-道]
태어남도 멸함도 없는 진리. 곧 불생불멸ㆍ무생무멸의 진리. 일원상의 진리를 인과보응의 이치와 불생불멸의 진리로 설명한다. 소태산대종사는 대각의 경지를 “만유가 한 체성이이며, 만법이 한 근원이로다. 이 가운데 생멸 없는 도와 인과 보응되는 이치가 서로 바탕하여 한 두렷한 기틀을 지었도다”(《대종경》 서품1)라고 밝혔다. 이 내용은 궁극적 진리의 두 가지 속성을 밝힌 것이며, 곧 일원상으로 상징된다. 일원상의 진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내용에도 ‘생멸거래에 변함이 없는 자리’(《정전》 일원상의 진리), ‘상주불멸하고 여여자연’(《정전》 일원상서원문) 등으로 밝히고 있다.(원불교대사전)
인과보응[因果報應]
행위의 선악이 업인(業因)이 되어 거기에 상응하는 과보가 있게 된다는 불교사상의 용어. 흔히 죄 값을 치른다는 개념을 나타낼 때 자주 쓰이는 말. 일반적으로 인과응보라고 한다. 불교에서 말하는 인과응보는 이 용어의 일상적인 용법에 비해 상당히 심오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불교철학의 핵심 사상 중 하나인 윤회의 작동원리이자 그것의 원동력이 되는 ‘덕(업보)’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악한 행위는 업보가 되어 윤회의 고리에서 인간을 벗어나지 못하게 하고 인간은 전생에서 지은 죄에 따라 내생의 외모나 고난 등이 결정되는데 이것이 곧 인과응보의 논리이다. 반면에 현생에서 참회하고 덕을 쌓아 업을 없앤다면 그 또한 인과응보에 따라 해탈에 이를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은 자신을 절제함과 동시에 늘 선한 일을 하여야 하며 또한 자기 수행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 곧 인과응보는 불교윤리의 기본이 되는 사상이라고 볼 수 있다.(원불교대사전)
★★★★★★★★★★
[당연한 길, 도]
<장원경 교무/영산선학대학교>
1년중 어느 달 소중하지 않은 달이 없지만 특히 가정의 달 5월은, 대각의 달 4월의 대종사님 대각 일성을 가까운 인연들에게 공들여 실현하는 달이기에 더욱 소중하게 다가온다.
'만유가 한 체성이며 만법이 한 근원이로다. 이 가운데 생멸없는 도(道)와 인과보응되는 이치가 서로 바탕하여 한 두렷한 기틀을 지었도다'라고 하신 대각일성은 만만치 않은 현실 속에서 연화(蓮花)를 피우고자 노력하는 우리들의 신앙, 수행의 근거가 된다. 거기에 인도품은 복잡한 인간생활에 분명한 해답을 주시는 자비 법문으로 가득 차 있다. 대종사님께서는 인도품 1~2장을 통하여 누구나 들어 알 수 있도록 도덕을 밝혀 놓으셨다.
도(道)에는 하늘· 땅·사람의 도가 있으며, 사람은 육신·정신의 도(道)가 있어서 경계를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일 크고 근본된 도(道)는 생멸 없는 도와 인과보응 되는 도라는 것이 1장의 요지이다. 도(道)란 무엇인가?'도(道)라는 것은 길이요, 길이란 무엇이든지 떳떳이 행함을 이름한다'고 하셨다. 어느 경계에서나 바르고 떳떳하게 행하고 은혜가 나올 수 있는 바른길이 도(道)인 것이다.
도덕이라 하는 것은 특이한 술법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세상에서 사람이 살아가면서 떳떳하게 밟아야 할 길이다. 따라서 이 떳떳하고 당연한 길을 아는 사람은 도를 아는 사람이라고 정의해 놓으셨다.
과거의 도에 대한 이론은 현실성이 결여되었기 때문에 이 말씀의 의의는 더욱 크다.
유교의 영향은 도(道)의 덕목으로 삼강오륜(三綱五倫)을 밝혔으나 우주의 근본원리에 부합시키지 못하였고 시대와 지역에 적응하지 못한 것이 아쉬운 상황이었다.
인도품 1장에서 천도, 지도, 인도 중 특히 인도에 대해 몇 가지 예를 들어 주신 것을 보면 과거 유불도의 도덕을 시대에 맞추어 곳곳에서 밝혀 주셨다.
오륜의 내용을 더욱 넓혀 '부자유친'에 대해서는 '부모 자녀의 도'로서 아버지 뿐 아니라 어머니도 자녀도 모두 존중하도록 해주셨다. '군신유의'는 '상하의 도'로써 근본적으로 평등한 자리에서 다만 각자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도록 밝혀 주셨으며, '부부유별'은 '부부의 도'로서 부부 간의 평등을 당연한 길로 설해 주셨다. 이 시대는 이미 모두가 평등하게 서로 손을 맞잡고 나아가야 할 시대임을 알려 주셨다.
5월이 다 가기 전에 생멸없는 도와 인과보응 이치의 큰 진리에 바탕하여 우리 가정과 사회가 떳떳하고 당연한 길로 가고 있는지, 그 길에 장애물은 무엇인지 점검하는 행복한 수고를 아끼지 말자.
★★★★★-THE END-
'대종경(大宗經) > 제4 인도품(人道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 인도품(人道品) 5장 (0) | 2014.10.05 |
---|---|
제4 인도품(人道品) 4장 (0) | 2014.10.05 |
제4 인도품(人道品) 3장 (0) | 2014.10.05 |
제4 인도품(人道品) 2장 (0) | 2014.10.05 |
제4 인도품(人道品) (0) | 2014.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