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48장

<20190804 일요일 법인성사 50일 정진기도 35일차>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48장

 

대종사

희사위(喜捨位)

기념식에서

말씀하시기를

[우리 회상에서는 우리 회상의 창립에 귀중한 자녀를 생육 희사한 부모들의 공덕을 존숭하기 위하여 그 분들에게 희사위의 존호를 올리고 기념하나니, 과거나 현재의 세속 인심은 대개가 이기심에 충만하여 정신·육신·물질의 삼방면으로 다른 사람에게 이익을 주는 사람은 극히 적으며, 자녀를 둔 사람으로서도 우선 자기 일신을 의뢰할 생각만 주로 하여 설혹 훌륭한 자질(資質)이 있는 자녀라도 애석하게 일생을 한 가정에 매어있게 한 일이 허다하였는데, 희사위 여러분은 일찍부터 이러한 생각에서 초월하여 자기의 영화와 안일을 불고하고, 그 귀중한 자녀들을 이 큰 세계 사업에 희사하였나니, 이는 곧 자비한 보살행의 일단이라, 우리는 이 희사위 여러분의 정신과 공덕을 영원히 추모하며 그 뜻을 받들어 어느 세상을 가든지 항상 공중을 위하는 참된 인물이 되어야 할 것이니라.]

{대종경} 인도품 48장

희사위의 크신 공덕

 

5월 중 어린이 법회시간에 엄마가 자녀를 위해 헌신하는 내용의 ‘엄마 까투리’라는 작품을 영상으로 보여 주고 나니 남녀 어린이 교도들이 모두 ‘가슴이 찡해요’라는 반응을 보인다.

 

출가 전에 근무했던 학교의 부모님들의 자녀들에 대한 열정도 뜨거웠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현직에 있는 선생님들의 얘기를 들어보아도 요사이 젊은 엄마들이 자녀들에게 쏟아 붙는 열정이 넘쳐 애처로울 정도라고 한다.

 

그런데 이렇게 소중한 자녀들을 도가에 출가시키는 남다른 부모님들을 뵈면 무조건 엎드려 절하고 싶은 마음이 든다. 부모님들의 사랑속에 출가의 길로 나선 공부인들은 참으로 열심히 정진하여 특별히 부모님의 은혜에 보답해야 하겠다는 결심을 새롭게 해야 할 것이다.

 

원불교에서는 재가 출가를 막론하고 마음공부를 잘 하여 법강항마 이상의 법위를 받고 보면 그 부모가 이 법에 인연이 되었든지 안 되었든지 희사위로 받들어 봉대하여 대재 때면 그 추모의 예를 올리게 된다.

 

출가 자녀이든 재가 자녀이든 공부의 요도 삼학·팔조와 인생의 요도 사은·사요를 빠짐없이 밟는 것이 효도의 으뜸이라 하셨다.

 

법강항마위의 부모를 소희사위, 출가위의 부모를 중희사위, 대각여래위의 부모를 대희사위라 한다. 이렇게 보면 가장 큰 효행을 실천하신 분은 대종사님, 정산종사님, 대산종사님, 석가모니 부처님, 공자님, 예수님 등 대성인들이시다.

 

대종경 인도품 48장에는 소태산 대종사님께서 희사위 기념식에서 말씀하신 법문이 수록되어 있으니 ‘우리 회상의 창립에 귀중한 자녀를 생육 희사한 부모들의 공덕을 존숭하기 위하여 그 분들에게 희사위의 존호를 올리고 기념하며, 자녀를 둔 사람으로서도 우선 자기 일신을 의뢰할 생각만 주로 하여 훌륭한 자질이 있는 자녀라도 애석하게 일생을 한 가정에 매어있게 한 일이 허다한데, 자기의 영화와 안일을 불고하고, 귀중한 자녀들을 이 큰 세계 사업에 희사한 것은 자비한 보살행의 일단이라’고 하셨다.

 

희사(喜捨)에서 희(喜)자는 ‘기쁘다, 즐겁다, 좋아하다’는 뜻이 들어 있고 사(捨)의 뜻을 불가에서는 ‘언제나 마음이 평온하고 집착이 없는 상태’라고 한다. 자녀를 공도에 헌신토록 하였으되 그 마음에 조금도 서운함이나 아쉬움이 없이 오로지 기쁘고 기쁜 마음이 되어야 참다운 희사가 되었다 할 수 있으리라.

 

작은 물건 하나도 자기 것을 남에게 주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인데 자녀를 세계 위한 일을 하는 대열에 서게 한 희사위의 공덕은 말할 수 없이 큰 것이니, 앞으로 희사위 되실 모든 분들 진심으로 축하하며 감사드린다.

 

<담양교당 / 장원경 교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