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804 일요일 법인성사 50일 정진기도 35일차>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45장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자녀를 가르치는 데에
네 가지 법이 있나니,
첫째는 심교(心敎)라
마음에 신앙처를 두고
바르고 착하고 평탄하게
마음을 가져서 자녀로 하여금
먼저 그 마음을 체 받게 하는 것이요,
둘째는 행교(行敎)라
자신이 먼저 실행하고 행동에 법도가 있어서
자녀로 하여금 저절로 그 실행을 체 받게 하는 것이요,
셋째는 언교(言敎)라
매양 불보살 성현들과 위인 달사들의 가언(嘉言) 선행(善行)을
많이 일러 주어 그것을 기억하여 체 받게 하며
모든 사리를 순순히 타일러서 가르치는 것이요,
넷째는 엄교(嚴敎)라
이는 철없는 때에 부득이 위엄으로 가르치는 법이니
이는 자주 쓸 법은 아니니라. 그러므로, 한 가정에서
자녀를 가르치되 어머니 태중으로 비롯하여
성인(成人)이 되기까지 이 네 가지 법을
아울러 쓰면 착한 사람 되게 하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
{대종경} 인도품 45장
원불교식 자녀 교육의 비법
‘한 아이를 키우려면 한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이 있다. 그만큼 아이를 키우는 데는 많은 관심과 격려와 수고와 사랑이 필요하다는 뜻일 게다. 수많은 교육 관련 서적을 읽고 방송과 강좌를 듣고 이웃 부모들과 이야기를 나누어도 늘 쉽지 않은 것이 내 아이 키우기라고 한다. “자식이 아니라 원수예요.”, “내가 전생에 무슨 죄가 만아서 저런 자식을 낳았는지 모르겠어.” 부모라면 누구나 한 번쯤 툭하고 내뱉었을 말이다. 이런 비난을 들은 아이는 어떤 생각을 할까? 동심은 얼마나 아플 것인가?
유난히 가족 행사가 많은 5월을 맞아 대종사께서 전해주신 성공적인 자녀 교육법 가운데 가장 확실하고 중요한 것을 하나 소개하자면, 자녀를 가르치는 데에 네 가지 법으로 심교·행교·언교·엄교를 들 수 있다.
심교(心敎)란 신앙처를 두고 마음을 바르고 착하고 평탄하게 마음을 가져서 자녀로 하여금 그 마음을 체 받게 하는 것이고, 행교(行敎)란 자신이 먼저 실행하고 행동에 법도가 있어서 자녀가 행을 체 받게 하는 것이며, 언교(言敎)란 선현의 행실을 많이 일러 주어 체 받게 하며 사리를 일러 가르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엄교(嚴敎)란 철없는 때에 부득이 쓰는 법이라 하셨다. 경우에 따라 적당히 활용해야 효과가 있을 것이다.
자녀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가르치는 방법이 잘 안된다면 하루에 적어도 10번 이상은 하겠다는 각오를 갖고 실천해야 부모로서 후회가 안 남을 것이다.
이 법문은 아이들에게 강요를 하고 주입을 시키는 것 보다 부모님들이 먼저 아이들 앞에서 모범을 보이는 것도 중요하다는 말씀을 담고 있다. 그리고 현재 부모는 과거에 자신이 부모님의 네 가지 가르침에 어떻게 순종하였는지도 조용히 돌아보자.
언교를 잘 활용한 경우로 저능아로 낙인찍혔던 아인슈타인의 어머니의 언교를 들 수 있다. 그녀는 자녀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좋은 말, 성적 위주의 교육보다는 자녀의 인격과 개성을 존중하는 교육을 더 중요시했다. “너는 세상의 다른 아이들에게는 없는 훌륭한 장점이 있단다. 그래서 이 세상에는 너만이 감당할 수 있는 일이 너를 기다리고 있단다. 너는 틀림없이 훌륭한 사람이 될 거야.” 입 밖으로 내놓은 말은 흘러가서 사라지는 말이 아니다. 말은 사람의 가슴으로 흘러들어 차곡차곡 쌓여서 그 사람의 가슴에 저마다의 세계와 우주를 이루게 된다.
소태산 대종사께서는 어머니 태중으로 비롯하여 성인이 되기까지 이 네 가지 법을 아울러 쓰면 착한 사람 되게 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하셨다.
네 가지 방법을 잘 쓰도록 마음을 가르치는 곳은 또한 교당임을 확신하고 가족들의 손을 잡고 교당을 찾는 행복한 5월을 만들어보자.
<담양교당 / 장원경 교무>
'대종경(大宗經) > 제4 인도품(人道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48장 (0) | 2019.08.04 |
---|---|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47장 (0) | 2019.08.04 |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44장 (0) | 2019.08.03 |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43장 (0) | 2019.08.03 |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42장 (0) | 2019.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