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730 법인성사 50일 정진기도 30일차>
대종사
안빈낙도의 뜻을
설명하시기를
[무릇, 가난이라 하는 것은
무엇이나 부족한 것을 이름이니,
얼굴이 부족하면 얼굴 가난이요,
학식이 부족하면 학식 가난이요,
재산이 부족하면 재산 가난인 바,
안분을 하라 함은 곧 어떠한 방면으로든지
나의 분수에 편안하라는 말이니, 이미 받는
가난에 안심하지 못하고 이를 억지로 면하려
하면 마음만 더욱 초조하여 오히려 괴로움이
더하게 되므로, 이미 면할 수 없는 가난이면
다 태연히 감수하는 한편 미래의 혜복을
준비하는 것으로 낙을 삼으라는 것이니라.
그런데, 공부인이 분수에 편안하면 낙도가
되는 것은 지금 받고 있는 모든 가난과
고통이 장래에 복락으로 변하여질
것을 아는 까닭이며, 한 걸음
나아가서 마음 작용이 항상
진리에 어긋나지 아니하고,
수양의 힘이 능히 고락을 초월하는
진경에 드는 것을 스스로 즐기는 연고라,
예로부터 성자 철인이 모두 이러한 이치에 통하며
이러한 심경을 실지에 활용하셨으므로 가난하신 가운데
다시없는 낙도 생활을 하신 것이니라.]
{대종경} 인도품 28장
공부인의 안빈낙도
행복을 향해 달려가는 사람들의 공통된 생각중의 하나는, 행복은 물질과 지위의 소유량과 정비례한다는 생각이다. 이제 세계인들은 과거 어느 때보다 물질적 편리를 여한 없이 누리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가정과 사회분위기는 행복으로 넘쳐나기는 커녕 희망이 없다고 고개를 떨구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비록 물질적 소유량은 늘었으나 정신적·윤리적 성숙이 뒤따르지 못하는 허점을 깨닫는 사람들에게 소태산 대종사님께서는 대종경 인도품 28장의 안빈낙도(安貧樂道)의 법문을 선물해 주었다.
안빈낙도란 가난한 생활 가운데서도 즐거움을 찾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즐긴다는 말이다. 대종경 인도품 28장에서 안빈낙도를 가난이라 하는 것은 얼굴 가난, 학식 가난, 재산 가난 등 무엇이나 부족한 것을 이르는데 안분을 하라 함은 곧 어떠한 방면으로든지 나의 분수에 편안하라는 말이니, 이미 받는 가난에 안심하지 못하고 이를 억지로 면하려 하면 마음만 더욱 초조하여 오히려 괴로움이 더하게 된다고 밝히시면서 도를 즐기는 방법으로 첫째, 이미 면할 수 없는 가난이면 다 태연히 감수하라. 둘째, 미래의 혜복을 준비하는 것으로 낙을 삼으라 하셨다.
일이란 매사 억지로 하면 초조해지고 괴로움이 따르기 마련이다. 때로는 현실을 감수하면서 한편으로는 미래를 준비하는 것으로 낙을 삼는 지혜를 익혀야 한다.
공자가 총애했던 제자 안회는 덕행이 뛰어난 반면 한 가지 아쉬운 것은 너무 가난하였다는 점이었다. 하지만 그런 외부의 환경을 탓하거나 자신의 처지를 비관한 적이 한 번도 없었고 주어진 환경을 순순히 받아들이고 성인의 도를 추구하는데 열심이었다. 그래서 공자는 안회에 대해 ‘가난을 예사로 여기면서도 여전히 성인의 도 좇기를 즐겨하고 있으니 이 얼마나 장한가.’라고 했다. 이는 소극적인 인생관이라기보다 공부인의 적극적인 낙도관이다.
소태산 대종사님께서는 헛된 명리(名利)를 좇아 자신의 본분마저 잊어버리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계시며, 안분이라 하여 세상을 소극적으로 살라는 뜻이 아니라, 무한한 욕망(欲望)을 맹목적으로 좇다가 자신을 망쳐버리는 일 없이 살도록 살펴 주셨다. 자신의 부족을 받아들이는 성숙함은 깊은 지혜 연마와 정당한 실천으로 이어져서 즐거운 마음으로 자신의 혜복을 준비하는 적극성을 내게 해 줄 것이다.
끝없는 욕심을 좇아 자신을 망칠 것이 아니라 마음의 안분을 통해 우리의 무한한 욕심을 해결 짓고 안심하며 나의 본성을 회복하여 끝없는 노력에 따라 모든 가난과 고통이 장래에 복락으로 변할 것을 확신한다면 순간순간 행복은 나의 것이다.
<전 영산선학대학교 / 장원경 교무>
https://blog.naver.com/hkleego21
원재(Aid Perfection)의 사진이야기 : 네이버 블로그
원재(Aid Perfection)의 사진이야기
blog.naver.com
'대종경(大宗經) > 제4 인도품(人道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30장 (0) | 2019.07.31 |
---|---|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29장 (0) | 2019.07.31 |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27장 (0) | 2019.07.30 |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26장 (0) | 2019.07.30 |
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25장 (0) | 2019.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