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종경(大宗經)
제4 인도품(人道品) 46장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자녀를 가르치는 데에는 부모 자신이 먼저 상봉 하솔의 도에 어긋남이 없어야 할 것이니, 만일 자녀의 보는 바에 자신이 직접 불효를 한다든지 불경을 한다든지 기타 무슨 일이나 좋지 못한 행동을 한다면 그 자녀를 지도할 위신이 없게 되는 것이요, 둘째는 그 언동이 근엄(謹嚴)하여야 할 것이니 만일 부모를 무난하게 아는 때에는 그 자녀를 정당한 규율로 지도하기가 어려운 것이요, 세째는 친애(親愛)를 주어야 할 것이니 만일 근엄하기만 하고 친애하는 정이 건네지 아니하면 그 자녀를 진정으로 감화하지 못하는 것이요, 네째는 모든 언약에 신용을 잃지말아야 할 것이니 만일 신용을 잃고 보면 그 자녀에게 철저한 영(令)을 세우지 못하는 것이요, 다섯째는 상벌을 분명히 할 것이니 만일 상벌이 분명하지 못하면 그 자녀에게 참다운 각성을 주지 못하는 것이요, 여섯째는 어릴 때부터 정당한 신앙심을 넣어 주어야 할 것이니 만일 신앙심이 없으면 자라는 도중에 다른 외경의 유혹을 받기 쉬운 것이요, 일곱째는 어릴 때부터 공익심을 권장하여야 할 것이니 만일 공익심의 권장이 없으면 자연히 이기주의의 싹이 커나는 것이요, 여덟째는 어릴 때부터 남의 악평이나 훼담(毁談)등을 금해야 할 것이니 만일 그것을 금하지 아니하면 자연 경박한 습관이 커나서 구화(口禍)의 문이 열리게 되는 것이요, 아홉째는 어릴 때부터 예 아닌 물건은 비록 적은 것이라도 취하지 못하게 할 것이니 만일 예 아닌 물건을 취하여 오게 하면 자연 염치 없는 습관이 커나게 되나니라.]
★★★★★★★★★★
상봉하솔[上奉下率]
웃어른을 봉양하고 아랫사람을 거느림. 소태산대종사는 자녀를 가르치는 데에도 부모 자신이 먼저 상봉하솔의 도에 어긋남이 없어야 된다고 했고(《대종경》 인도품46), 호주는 상봉하솔의 책임을 잊어버리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정전》 제가의 요법).(원불교대사전)
감화[感化]
(1) 좋은 느낌을 받아 생각이나 감정이 바람직하게 변화함. 또는 그렇게 변하게 함. ‘동포’가 자리이타로 감화를 받아 서로 사랑하고 즐거워하여 옹호하고 우대하며 친목, 상통하고 평화하게 됨. 사람에게 언행으로 감동을 주어 변화하게 함. 마음에 깊이 동남풍이 마련되어서 심화기화(心和氣和)하며 실천궁행하여 활용(《대종경》 교의품37)함으로써 심복하게 함.
(2) 진리를 가르쳐서 중생의 마음이 불보살의 마음으로 바뀌도록 함. 올바른 세계관ㆍ인생관을 심어주어 스스로 가치 있는 삶을 살아가게 해주는 것.(원불교대사전)
각성[覺性]
깨달음의 성품 또는 성품을 깨달았다는 의미. 깨달음의 성품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 모든 미혹과 번뇌 망상을 물리친 깨달은 마음을 의미한다. 깨어서 정신을 차림을 의미하는 각성(覺醒)과 혼동하기 쉽다. 깨달음의 성품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의 용례는 불경에 자주 나온다. 인간은 누구나 아무런 차별이 없는 각성 곧 자성청정심을 갖고 있다. 《수심결》 20장에는 “모든 법이 다 공한 곳에 영지가 매하지 아니하여 무정물과 같지 아니하고 성품이 스스로 신기롭게 아나니, 이것이 곧 네 공적 영지의 청정한 심체라. 이 청정하고 공적한 마음이 이 삼세 모든 부처님의 가지신 밝은 마음이며 또 일체 중생의 본원 각성이니, 이것을 깨달아 지키는 이는 온전하고 한결같은 자리에 앉아 촌보도 움직이지 아니하고 해탈을 얻을 것이요, 이것에 미하여 배반한 이는 육취(六趣)에 흘러 긴 겁을 윤회하나니라”는 문구가 있다.(원불교대사전)
훼담[毁談]
남을 헐뜯고 중상 모략하는 말.(원불교대사전)
★★★★★★★★★★
[부모의 자녀 교육법]
<장원경 교무/담양교당>
모든 부모의 소원은 자녀를 잘 양육하는 것이다. 그래서 엄청난 희생을 하면서 자녀 교육에 헌신한다. 이민, 유학까지 불사한다. 그래도 제일 어렵고 힘든 것이 자녀 교육이다. 자녀를 잘 교육하는 비결이 무엇일까?
인도품 46장속에 자녀를 가장 잘 교육하는 교육법 9조가 있다.
그 내용은 부모가 먼저 상봉 하솔의 도에 어긋남이 없어야 하고 부모의 언동이 근엄해야 하면서도 친애를 주어야 한다는 것과 또한 모든 언약에 신용을 잃지 말아야 하고 상벌이 분명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어릴 때부터 정당한 신앙심을 넣어 주어야 하며 어릴 때부터 공익심을 권장하고, 어릴 때부터 남의 악평이나 훼담(毁談)등을 금하게 하여야 하며 어릴 때부터 예 아닌 물건은 비록 적은 것이라도 취하지 못하게 한다는 것이다.
대종사님께서 밝히신 자녀 교육의 핵심 몇가지는 부모의 솔선수범이고, 종교심과 예절 그리고 공익심을 길러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오늘날 심각해지는 청소년 문제를 보면서 대종사님의 자녀교육에 대한 자상함이 선견지명으로 나타나 있음을 다시 발견하게 된다.
회보 35호에 보면 '부모자녀간의 불상사를 자녀된 자에게만 불효한 놈이라고 하나 근본을 생각해보면 부모된 사람의 잘못이라고 생각한다'고 하셨다. 부모가 자녀 교육하는 방법이 철저하지 못하여 자녀의 습관이 나쁘게 들게 된 것이니 부모 자리에 있어서는 자녀의 잘못이 곧 부모의 잘못임을 잊지 말라고 했다.
대종사님께서는 특히 신앙과 공익심 권장, 악평 금지, 예아닌 물건 취하지 않는 것을'어릴 때 부터'라는 말로 시작해 주시면서 어린 시절부터 습관을 잘 갖도록 강조했다.
오늘날 기독교가 눈부신 부흥을 이룬 것도 탄탄한 가족 사역의 결과이다. 교단 100주년의 준비로 자녀의 신앙을 살리는 운동이 시급하다. 어릴 때부터 지식만 강조 할 것이 아니라 교당을 다니도록 하여 도덕적 감성을 높이고 외경의 유혹에 흔들리지 않도록 교육하자.
어린 자녀에게 때때로 부모는 심판자로서 행동해야한다. 누구도 다른 사람의 버릇을 지적하고 고쳐주려 하지 못한다. 자주 거론한다면 고맙게 생각하는 것보다 나쁘게 생각하는 감정이 커져가기 때문에 인간관계가 어려워진다. 부모나 선생님만이 심판자가 될 수 있다.
그런데 심판자가 되려면 자신의 행동이 늘 바르게 행해지는지 관심을 가지고 바라봐야 하는 동시에 부모는 자녀의 행동에 흔들리지 않도록 유의해야한다. 아무리 떼를 써도 안 되는 것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어야 자녀를 좋은 방향으로 지도할 수 있다. 자녀교육에 꾸준한 관심과 노력으로 이 법문을 실천하자.
★★★★★★★★★★
[원불교에서는 자녀를 어떻게 교육하도록 가르치고 있나요?]
<윤광일 교수/한양대·중곡교당>
답: 원불교에는 4법 9도라고 해서 자녀교육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자녀교육의 4법은 〈대종경〉 인도품 45장에 '자녀를 가르치는 데에 네 가지 법'이 있다고 대종사께서 말씀하십니다.
첫째는 심교(心敎)라 마음에 신앙처를 두고 바르고 착하고 평탄하게 마음을 가져서 자녀로 하여금 먼저 그 마음을 체받게 하는 것이요, 둘째는 행교(行敎)라 자신이 먼저 실행하고 행동에 법도가 있어서 자녀로 하여금 저절로 그 실행을 체받게 하는 것이요, 셋째는 언교(言敎)라 매양 불보살 성현들과 위인 달사들의 가언(嘉言) 선행(善行)을 많이 일러 주어 그것을 기억하여 체받게 하며 모든 사리를 순순히 타일러서 가르치는 것이요, 넷째는 엄교(嚴敎)라 이는 철없는 때에 부득이 위엄으로 가르치는 법이니 이는 자주 쓸 법은 아니니라. 그러므로, 한 가정에서 자녀를 가르치되 어머니 태중으로 비롯하여 성인(成人)이 되기까지 이 네 가지 법을 아울러 쓰면 착한 사람 되게 하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하셨습니다. 체벌을 가하는 엄교보다는 부모의 행교를 가장 높은 가르침으로 지적하고 계십니다.
자녀교육의 구체적인 도(道)로 제시된 것은 아홉가지 도로써 인도품 46장에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습니다.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자녀를 가르치는 데에는 부모 자신이 먼저 상봉 하솔의 도에 어긋남이 없어야 할 것이니, 만일 자녀의 보는 바에 자신이 직접 불효를 한다든지 불경을 한다든지 기타 무슨 일이나 좋지 못한 행동을 한다면 그 자녀를 지도할 위신이 없게 되는 것이요,
둘째는 그 언동이 근엄(謹嚴)하여야 할 것이요, 셋째는 친애(親愛)를 주어야 할 것이니 만일 근엄하기만 하고 친애하는 정이 건네지 아니하면 그 자녀를 진정으로 감화하지 못하는 것이요, 넷째는 모든 언약에 신용을 잃지말아야 할 것이니 만일 신용을 잃지 말아야 할 것이요, 다섯째는 상벌을 분명히 할 것이요, 여섯째는 어릴 때부터 정당한 신앙심을 넣어 주어야 할 것이니 만일 신앙심이 없으면 자라는 도중에 다른 외경의 유혹을 받기 쉬운 것이요, 일곱째는 어릴 때부터 공익심을 권장하여야 할 것이요, 여덟째는 어릴 때부터 남의 악평이나 훼담(毁談) 등을 금해야 할 것이요, 아홉째는 어릴 때부터 예 아닌 물건은 비록 적은 것이라도 취하지 못하게 할 것이니 만일 예 아닌 물건을 취하여 오게 하면 자연 염치없는 습관이 커나게 되나니라.'
★★★★★-THE END-
'대종경(大宗經) > 제4 인도품(人道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 인도품(人道品) 48장 (0) | 2014.10.11 |
---|---|
제4 인도품(人道品) 47장 (0) | 2014.10.11 |
제4 인도품(人道品) 45장 (0) | 2014.10.11 |
제4 인도품(人道品) 44장 (0) | 2014.10.11 |
제4 인도품(人道品) 43장 (0) | 2014.10.11 |